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git
- 너비우선탐색
- computerscience
- 프론트엔드개발자
- github
- js
- 그리디
- DFS
- 야놀자
- KAKAO
- BFS
- Javascript
- 국비지원취업
- 국비지원
- cpu
- 호이스팅
- nodejs
- 자바스크립트
- 코테
- 컴퓨터공학
- 컴퓨터과학
- CSS
- CS
- 알고리즘
- 패스트캠퍼스
- 코딩테스트
- html/css/js
- 백준
- 부트캠프
- LinkSnap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2024/05/09 (1)
My Boundary As Much As I Experienced

공부하게 된 계기타입스크립트에는 constant 관리에 2가지 선택지가 있다. as const와 enum이다.나는 보통 as const를 쓰는 편이었는데 (그냥.. const가 친숙해서 썼었다. enum은 넘 생소해..)회사에선 enum을 쓰더라. 왜 enum을 쓰는지 궁금해서 사수님께 물어보기 전에채찍피티와 오픈채팅방에 as const vs enum에 대해 물어보고 기록한 내용이다. 대강 정리하자면... 보통 자바스크립트에 친숙한 개발자는 enum보단 as const를 선호하는 경향이 크나, 개발팀 리더가 자바 경력이 긴 사람이면 enum으로 통일하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그리고 enum은 참조되지 않아도 트리쉐이킹의 대상이 되지 않기도 하며, 컴파일 시 즉시실행함수 IIFE로 변환되어 흔적이 남는다고..
FrontEnd/TypeScript
2024. 5. 9. 23: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