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호이스팅
- 자바스크립트
- 국비지원취업
- 알고리즘
- KAKAO
- Javascript
- 프론트엔드개발자
- computerscience
- nodejs
- BFS
- cpu
- 백준
- 코테
- 컴퓨터과학
- CS
- CSS
- git
- 컴퓨터공학
- 코딩테스트
- 그리디
- LinkSnap
- 패스트캠퍼스
- 부트캠프
- 너비우선탐색
- DFS
- 국비지원
- 야놀자
- html/css/js
- github
- js
- Today
- Total
목록2023/10/22 (4)
My Boundary As Much As I Experienced

달성한 조건 98문제 해결 평균 solve난이도 실버4 (문제 난이도 별 모음집에서) 클래스3 클리어 지금까지 푼 문제 난이도 분포는 이렇다. 이때, 혼자서 못 풀어서 직접적으로 답을 본 것들은 정답 제출하지 않았고, 질문게시판에서 반례 테스트케이스를 조회해본 정도만 제출하였다. 거의 실버로만 그득한걸 볼 수 있다. 골드는 딱 5문제... 골드 문제를 쉽게 풀 수 있으면 이제 플레로 가는거겠지? 플레는 최소 400문제는 풀어야된다고 한다. 내가 올해 5월부터 10월까지 백준 100문제를 풀었으니... 내후년 쯤에 400문제 채울 수 있으려나? 물론 양치기만 하는게 아니라, 푼 문제들의 상위 100문제가 평균 골드로 맞춰져야 한다. 실버문제들을 아무리 양치기 해봤자 플레를 달성하긴 힘들다. 백준 랭크 올리..
기존 useState를 쓸 때 발생하는 문제 아래는 리액트로 양방향 입력 컴포넌트를 만드는 흔한 예시이다. 양방향이란, 1. 유저가 input 태그에 입력해서 state값을 바꿀 수 있고, 2. 시스템이 다른 handler함수에서 setState를 통해 렌더된 인풋을 바꿀 수 있음을 의미한다. const [state, setState] = useState(””) 이게 틀리다는 건 아닌데 이런 식으로 하면 state가 바뀔 때마다 input이 재렌더 된다. value={state}때문에 state값의 변화에 영향을 받는 이 input컴포넌트는 엄청나게 많은 재렌더 api를 쏘게 되는데.. (단순 키보드 입력 때마다 state가 바뀌기 때문. state가 쓰이는 모든 곳이 재렌더 된다.) 성능적으로 민감한 ..
리액트 포털은 언제 쓰는가? 웹페이지를 만들다보면 종종 모달을 만들 상황이 발생한다. 많은 사람들이 모달을 그때그때 모달이 필요한 페이지의 자식으로 만들고 있다. 그렇게 되면 원래라면 해당 페이지의 맨 아래 있어야하는 모달을 css를 사용하여 최상단에 있는 것처럼 꾸미는 것이다. 이게 완전히 틀리다는건 아니지만, 의미적으로 좋지 않긴 하다.(최상단에 보이는 컴포넌트가 사실 맨 아래에 있는건데 z-index만 조작해서 위에 있는것처럼 보임) 의미적인 측면 뿐만 아니라 기능적으로도, 모달을 발생시켜야 하는 지점이 매우 깊은 곳이면, 그 상위요소들의 css에 모두 영향을 받는다. z-index가 다른 의존성 때문에 잘 안 올라가는 경우도 생길 수 있음. (리액트 루트를 넘어) 최상단으로 모달같은 컴포넌트를 보..
JSX코드가 처리되는 과정 JSX는 자바스크립트 코드가 HTML처럼 보이게 만든 일종의 Syntax Sugar일뿐이다. 실제로는 자바스크립트이다. // JSX return Let's get started! // 원시 React? return React.createElement("div", {}, React.createElement("h2", {}, "let's get started"), React.createElement(Expenses, {item: expenses}) ) //최상위 div에는 속성이 없으므로 빈객체{}를 2번째 인자로 제공한다. 위 예시의 아래 부분처럼 실제로 JSX 문법이 나오기 전까진 createElement() 메소드의 체이닝을 계속 했어야 했다. (return문은 단 하나의 값..